728x90
>>>import os
>>>os.getcwd()
위와 같이 입력했을 때 나온 위치에 텍스트 파일을 저장한다.
open("파일명","접근모드")
- 파일 메소드
close() | 파일 닫기 |
read(n) | 파일의 현재 위치에서 문자n개를 읽어 문자열로 리턴 |
readline(n) | 파일의 현재 위치에서 그 줄의 끝까지 모두 문자열로 리턴 |
readlines() | 파일의 현재 위치에서 한 줄씩 끝까지 읽어서 줄의 리스트로 리턴 |
write(s) | a문자열 s를 파일의 현재 위치에 쓴다 |
writelines(ss) | a문자열 리스트 ss에 있는 문자열을 모두 파일의 현재 위치에 쓴다 |
- 파일 접근 모드
“r” | 파일에서 읽음 |
"w” | 파일에 씀 |
"x” | 새로 생성한 파일에 씀 |
“a” | 파일의 뒤에 이어서 씀 |
"r+” | 파일에서 일고 씀 |
"w+” | 파일에 쓰고 읽음 |
"a+” | 파일의 뒤에 이어서 쓰고 읽음 |
1. 텍스트 파일 읽기
#파일 열기
t = open("파일명.txt","r",encoding="UTF-8")
#"r" : 접근모드/ read모드로 열기
#n글자 읽기
print(t.read(1))#텍스트 파일의 첫번째 글자를 출력
print(t.read(3))#텍스트 파일의 2번째글자부터 3개 출력
#처음부터 다시 읽으려면 파일을 닫고 다시 열어야함
print(t.read())#파일에서 남은 문자열 전체를 끝까지 출력
print(t.readline()) #한줄씩 읽기
#파일닫기
t.close()
- 실행 결과
2. 텍스트 파일에 문자열 쓰기
#텍스트 파일에 문자열 쓰기
t=open("새로운 파일명.txt","w",encoding="UTF-8")
t.write("집에 가고 싶다")
t.close()
파일 꼭 닫기!!
참고 : 프로그래밍의 정석(생능출판)
728x90
'공부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파이썬]백준 10951번 : A+B - 4 (0) | 2023.06.23 |
---|---|
[python파이썬] 포매팅 format() (0) | 2023.06.23 |
[python파이썬] strip()/split()/partition() 문자열 나누기 (0) | 2023.06.07 |
[python파이썬] 문자열 검색 (1) | 2023.06.05 |
[python파이썬] 집합과 딕셔너리 (0) | 2023.05.31 |